한국에서 발견되는 파리의 종류

파리는 한국 전역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해충입니다. 일부 종들은 집이나 사업장 주변에서 쉽게 발견되나, 각기 다른 종은 그들만의 다른 환경, 습성, 생활사를 가지고 있습니다. 때문에 각 파리의 크기, 습성, 계절성, 생활사에 대해 제대로 파악하는 것은 파리방제의 가장 첫 걸음일 뿐 아니라 효과적인 파리 방제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.

파리에 관한 상식: 일반적으로, 파리 성충은 30일 정도를 삽니다. 그 기간 동안 파리는 알, 유충, 번데기, 성충 단계를 거칩니다.

집파리

(Musca domestica)

집파리는 병을 옮기는 주된 해충입니다. 어느 장소든 집파리가 생길 수 있습니다. 파리들은 인간이 먹는 음식, 애완동물 사료, 음식물 쓰레기, 심지어 배설물까지 모든 음식물을 다 먹을 수 있습니다. 성충의 파리가 보이는 것은 가장 흔한 징후이고 잠재적인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. 유충이 기어 다니는 것도 발견 될 수 있습니다.

형태

  • 유충의 크기는 10~14mm이며, 성충은 6~9mm 이다.
  • 성충의 흉부에는 검은 4개의 선이 있어 다른 파리들과 구분이 된다.
  • 흉부는 회색 또는 검은색이며, 몸 전체에 강모를 가지고 있으며 액체성 양분을 흡즙하는 구기를 가지고 있다.

생활사

  • 성충 파리의 수명은 약 2-4주 정도로, 수명 동안 약 80-150회 산란을 한다.
  • 부화한 성충은 약 36시간 후부터 교미가 가능하다.
  • 암컷은 교미 후 약 3일 후 산란하며, 1회 산란 시 약 100-150개 정도의 알을 산란한다.
  • 부화한 유충은 환경에 따라 14-36시간 동안 3번의 탈피 후 번데기가 된다.

습성

  • 앞다리에 맛을 느끼는 기관을 가지고 있어 수시로 앞다리를 비벼 깨끗이 한다.
  • 액체성 또는 반액체성 먹이를 선호하며, 배설물, 쓰레기더미, 퇴비장 등 유기물질이 많은 곳에 산란한다.
  • 고체성 먹이원의 경우, 입에서 소화액을 분비해 표면을 녹여 흡즙하며, 이 과정에서 섭식한 병원균이 같이 배출되 병원균을 옮기기도 한다.
  • 소화가 빨라 5분 간격으로 배설물을 배출한다.

검정파리

(Calliphora vomitoria)

쓰레기통 주위를 배회하는 모습이 눈에 자주 띄는 파리로, 일반적으로 동물의 배설물 근처에 자주 보이며 질병을 옮기는 해충으로 알려져 있습니다.

형태

  • 몸 길이는 8-13mm이다.
  • 몸 전체적으로 광택이 나는 검적색이며, 흰 비늘가루로 무늬를 가지고 있다.
  • 더듬이는 갈색을 나타내며, 전흉배판의 앞부분부터 흰 비늘가루의 세로줄이 4개 있
  • 더듬이 말단 분절에 솜털 같은 털을 가지고 있다.

생활사

  • 검정파리 성충의 일반적인 수명은 20-50일 사이이다.
  • 1회 산란 시 약 200-400개의 알을 산란한다.
  • 3월부터 11월에 관찰이 가능하며, 한 여름은 더위를 피하기 위해 숲으로 이동한다.

습성

  • 선선한 날씨를 선호하여 기온이 높은 낮 시간에는 활동이 적으며, 더위를 피하기 위해 실내로 침입한다.
  • 고체성 먹이원의 경우, 입에서 소화액을 분비해 표면을 녹여 흡즙하며, 이 과정에서 섭식한 병원균이 같이 배출되 병원균을 옮기기도 한다.
  • 발톱 사이에 욕반이라는 점착성 물질이 있어 병원균과 오염물을 묻혀서 옮겨진다

금파리

(Lucilia Caesar)

청록색의 금속과 같은 광택을 가지고 있어 금파리라는 이름이 붙여졌으며, 주요 먹이원이 병원균이나 비위생적인 곳에 많으므로 각별히 주의해야 할 해충입니다.

형태

  • 몸 길이는 9-10mm이다.
  • 전체적으로 금속과 같은 광택을 가지는 청록색이다.
  • 몸 전체적으로 센털이 있다.
  • 두부에는 금빛 비늘가루로 덮여있다.
  • 양 겹눈이 매우 인접하여 이마 부분이 거의 없다.
  • 아래턱수염은 긴 막대형으로, 밝은 갈색을 가진다.

생활사

  • 1회 산란 시 약 150-200개 정도의 알을 산란하며, 수명 동안 2,000-3,000개의 알을 산란한다.
  • 산란한 알은 적당한 기온에서 9시간 만에 부화한다.
  • 유충기를 3-8일 정도 보내며, 종령 유충은 땅 속으로 들어가 번데기가 된다.
  • 번데기는 약 15-20일 후 우화 한다.
  • 4월에서 10월 사이에 발견되며, 여름에는 자취를 감춘다.

습성

  • 주요 서식처는 동물의 배설물이나, 죽은 사체이다.
  • 살아있는 동물의 상처나 궤양에 산란 시 승저증(구더기증)을 일으키기도 한다.

초파리

(Drosophila species)

초파리는 일반적으로 싱크대, 과일, 음식물쓰레기 등에서 쉽게 발견됩니다.

형태

  • 몸길이는 수컷의 경우 2mm, 암컷의 경우 약 2.5mm 로 소형 파리 중 하나이다.
  • 전체적인 체색은 밝은 갈색이며, 몸 전반에 걸쳐 강모를 가진다.
  • 붉은색 겹눈을 가지고 있으며, 배마디에 검은색 줄무늬가 관찰된다.

생활사

  • 초파리 성충의 일반적인 수명은 40-50일 사이이다.
  • 알에서 깨어난 유충은 약 6-9일 사이에 성충으로 우화하며, 우화 후 2일 만에 산란이 가능하다.
  • 1마리의 암컷이 수명 동안 약 500-700개의 알을 산란한다.

습성

  • 과일이나, 썩은 과육, 상한 음식물 등에 무리 지어 모여들며, 해당 지역에 알을 낳아 번식한다.
  • 세대 주기가 짧아 환경이 좋을 경우 빠르게 대발생한다.
  • 약 3-5도의 알코올성분에 모여드는 경향이 있으며, 알코올성분을 이용해 병원성 균의 감염을 줄이기 위함이다

나방파리류

((Psychodidae spp. ))

나방파리는 주로 파리 유충이 슬러지 유기물을 먹을 수 있는 하수구 근처에서 발견됩니다.

형태

  • 몸길이는 1.5-2mm 정도이며, 날개를 포함하여 5mm 정도로 소형 파리류 중 하나이다.
  • 일반적인 체색은 회갈색이며, 회색의 털들이 표면을 덮고 있다.
  • 겹눈은 짙은 갈색이며, 염주형의 더듬이를 가진다.
  • 날개는 나방류의 날개비늘처럼 보이는 센털로 덮고 있다.

생활사

  • 나방파리 성충의 일반적인 수명은 약 3-14일 정도이다.
  • 알에서 깨어난 유충은 약 10-26일 사이에 성충으로 우화 하며, 우화 후 2일 만에 산란이 가능하다
  • 1마리의 암컷이 수명 동안 약 30-150개의 알을 산란한다.

습성

  • 주요 서식처는 자연에서는 오염된 하천이나, 연못 등 에서 서식하며, 실내에서는 배수관이나, 기타 물 사용장소에서 발생하며, 유기슬러지를 먹이원으로 한다.
  • 야행성으로 밤시간에 먹이 활동과 서식지 확산을 한다.
  • 비행 능력이 떨어져 1회 비행시 1-2m 정도 비행 후 장시간 벽에 앉아서 휴식을 취한다.

쉬파리류

(Sarcophagidae spp. )

쉬파리

형태

  • 몸길이는 6-19mm 이다.
  • 두부와 흉부는 체색은 흑색으로 금빛의 비늘가루로 덮여있으며, 붉은색 겹눈을 가진다.
  • 배마디는 7마디로 되어 있으며, 끝 2마디는 생식기관을 가지고 있다.
  • 배마디의 색은 흑색 비늘가루와 금빛 비늘가루가 섞여 무늬를 만든다.

생활사

  • 암컷은 산란하기도 하지만, 주로 생식기 속에서 부화한 유충을 낳는다.
  • 1회에 20-40마리의 유충을 낳는다.
  • 알에서 번데기까지 2-4일 사이로 매우 짧다.
  • 노숙 유충은 땅속으로 들어가 번데기가 되며 약 14-20일 후 우화 한다.
  • 4월에서 10월 사이에 발견되며, 낮 시간에 활동한다.

습성

  • 주요 서식처는 죽은 동물의 사체 또는 배설물이며, 일부 종은 나방류의 유충이나, 메뚜기류에 기생한다.
  • 생식기관이 발달하여, 알을 배 속에 품고 있으며, 부화한 유충을 낳는다.
  • 살아있는 동물의 상처나 궤양에 산란 시 승저증(구더기증)을 일으키기도 한다.

벼룩파리류

(Phoridae spp.)

외형적인 모습때문에 곱추파리라고도 불리며, 앞발에 예민한 감각 기관이 있다. 주로 동물의 사체나 주방의 슬러지 등에서 많이 발생합니다.

형태

  • 몸 길이는 약 0.5-5.5mm 정도로 소형 파리류 중 하나이다.
  • 측면에서 관찰 시 흉부가 곱사등의 모양을 하고 있다.
  • 일반적인 체색은 암갈색부터 밝은 갈색을 가지고 있다.
  • 흉부와 비교하여 두부가 현저하게 작으며, 짧은 더듬이를 가진다.

생활사

  • 1회 산란 시 약 1-100개의 알을 산란하며, 수명 동안 800개의 알을 산란한다.
  • 산란한 알은 적당한 기온에서 20시간 만에 부화한다.
  • 유충기를 5-8일 정도 보내며, 종령 유충은 건조한 장소를 찾아가 번데기가 된다.
  • 번데기는 약 13-15일 후 우화 한다.

습성

  • 주요 서식처는 썩은 고기와 배설물, 부패한 야채, 배수관의 슬러지, 더러운 걸래, 정화조, 축사 등 습하고 유기물이 많은 장소에서 발생한다.
  • 일부 종은 땅속에 묻어둔 관의 썩은 사체를 찾아 그 속에서 발생하기도 한다.
  • 일부 종은 꿀벌류에 기생하기도 한다.